본문 바로가기
부자되는 부동산

화성 동탄2신도시 집값 가파른 반등“눈치 보다 기회 놓친 집주인 많아”

by 개발도움군 2023. 7. 19.
반응형

화성 동탄2신도시 집값 가파른 반등
"눈치 보다 기회 놓친 집주인 많아"

동탄아파트


"이번에 집값이 급락했다 반등하면서 동탄신도시 내 실수요자들 사이에서도 희비가 엇갈렸어요. 인근에 사는 집주인들이 갈아타기 시기를 놓쳤다면서 아쉬워하는 경우가 참 많아요."(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 있는 한 부동산 공인중개업소 대표)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집값이 빠르게 반등했다. 지난해 집값이 반토막 수준으로 급락하면서 시장이 완전히 침체일로로 빠지나 싶더니 상대적으로 낮아진 가격에 실수요자들이 몰렸다. 이 가운데 시기를 놓쳐 '갈아타기'에 실패한 집주인들이 꽤 많다는 게 현지 공인 중개 관계자의 설명이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화성시 영천동 '동탄역 롯데캐슬'은 지난달  41층이 15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달에도 14층이 14억5000만원에 매매되는 등  지난해 3월 14억원까지 거래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집값이 회복된 모습이다. 

청계동에 있는 '더샵센트럴시티' 전용 84㎡는 지난 10일 12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10월 10억원에 거래된 이후 거래가 한 건도 없다 약 8개월 만에 2억원 오른 가격에 거래가 됐다. 이 단지 또 다른 전용 84㎡도 지난 5월 12억8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지난해 1월 거래된 10억원보다 2억8000만원 오른 수준이다.

인근에 있는 '동탄역 시범한화 꿈에그린 프레스티지' 전용 84㎡는 지난 10일 11억8100만원에 거래됐는데 지난 1월 거래된 9억4500만원보다 2억3600만원 반등했다. 지난해 11월엔 8억8000만원까지 내렸는데 당시보다는 3억100만원 뛰었다.

심지어 반토막 수준까지 내려갔던 단지들도 회복에 나섰다. 청계동 '동탄역 시범우남퍼스트빌아파트' 전용 59㎡는 지난 5월 8억5000만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 면적대는 2021년 10억1000만원(8월)까지 치솟았던 곳인데 지난해 11월 5억2000만원까지 하락, 반토막 수준까지 내렸다가 반등했다.


청계동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올해 초보다 1억~2억원은 반등했다고 보면 된다"며 "지난해 일시적 1가구 2주택자 등이 급매물을 내놓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매물부터 차례대로 소화되면서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인근에 있는 B 공인 중개 관계자는 "가격이 내린 이후 이들 단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가장 먼저 알아보고 발 빠른 실수요자는 더 큰 면적대로, 혹은 더 나은 위치에 있는 단지로 '갈아타기'에 나섰다"며 "이후에는 판교나 분당, 멀리서는 서울에서 투자자들이 저점에 매매에 나섰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가격이 급락한 이후 '갈아타기'에 실패한 집주인들도 적지 않다는 게 현장의 전언이다. 청계동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는 "지난해 집값이 급락한 이후 더 내려가길 기다렸다가 갈아타겠다고 했던 대기자들이 많았다"면서 "일부는 갈아타기에 성공했지만 결국 가격이 내리길 기다리다가 아직도 갈아타지 못한 집주인들이 꽤 많다"고 귀띔했다.

같은 동 D 공인 중개 관계자는 "오히려 외지인들이 더 빨리 움직였다. 한 서울 투자자는 집값이 바닥을 쳤을 때 내려와 바로 계약했다"며 "되려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외지인에 밀려 기회를 놓쳤다"고도 말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수도권 신도시 집값은 빠르게 반등했다. 특히 동탄2신도시가 16% 넘게 오르면서 가격 회복세를 주도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2기 신도시 가운데 동탄2신도시는 16.8% 올랐다. 이어 △검단신도시 16.5% △광교신도시 11.6% △위례신도시 10.4% △판교신도시 8.8% 등도 급등했다.

매매 심리도 회복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화성·오산·평택 등 서해안권 매매수급지수는 이달 둘째 주(10일) 기준 91.1을 기록했다. 지난 1월 첫째 주(2일)만 하더라도 69.4였는데 7개월 만에 21.7포인트 급등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하는데 여전히 100을 밑돌고 있어 집을 사려는 실수요자보다 집을 팔려는 집주인들이 더 많은 상황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