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청년후계농 3만 명 육성 목표
'가성비' 현저히 낮은 농가..."영농 힘들고 돈 많이 못 번다"
현대차 경쟁률은 500:1 기록... 청년후계농 지원방안 강화해야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농가는 102만3000가구, 농가인구는 216만 6000명이다. 고령화에 따른 농업 포기와 전업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농가는 8000 가구(0.8%), 농가인구는 5만 명(2.3%) 감소했다.
인구 구성에서는 60대 이하 모든 연령 구간에서 감소했고, 70대 이상 인구만 4.9% 증가했다. 아직까지 신규 유입으로 활력을 찾기보다, 기존 농가의 노후와 폐업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청년들이 농업을 진로로 염두에 두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수익의 불확실성이다. '대기업 사무직 선호'로 여겨졌던 기존의 청년 취업 인식은 2개월전 전국민적인 호응을 얻었던 현대차 채용에서 크게 뒤집어진 모양새다. 울산, 전북 전주, 충남 아산 등 지방 공장 근무가 필연적이었음에도 약 1억여 원의 연봉과 대기업 복지가 청년들의 눈길을 잡아끌었다.
반대로 농가의 수익성은 일반적인 취업길에 비해서도 취약한 수준이다. 농가의 '판매 금액'이 1000만 원 미만인 농가 비율은 전체의 65.1%로 과반을 넘은 데다 지난해보다 1.2% p 늘어났다. 1억 원 이상인 농가의 비중도 3.8%에 그쳤다.
농사를 지을 부지, 종자, 비료, 이외 농기계 등 제반비용 등을 고려할 때 농업은 초기 투입 자본이 높은 산업이다. 정부는 청년농을 대상으로 월 110만 원 수준의 정착 지원금과 함께 200억 원 규모의 청년농 지원 펀드를 결성하고 있지만, 청년들이 진로로서 농업을 선택하는 수준까지는 위험도는 높은 수준이다.
2021년 농·축협 조합원에 대한 강제집행 금액은 1106억 원으로 2017년 615억 원에 비해 1.8배 늘어났다.
청년농가의 성공신화처럼 보이는 성공한 청년농이 대부분 기존의 자본을 물려받은 '승계농'이라는 점 역시 청년들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다. 2019년 발표된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4353명의 경영형태별 농가소득을 분석에서, 승계농의 연간 평균 소득은 1억1934만원이었지만 창업농은 3730만원 수준이었다.
도시에서 통용되는 '금수저론'을 농촌에 간다고 피할 수는 없다. 오히려 연차가 쌓일수록 도시와의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도 크다. 청년들이 기피하는 중소기업에서도 '내일채움공제' 등으로 목돈을 쥘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업체에 가까운 농가는 3년까지 지원되는 정착지원금을 제외하면 청년 귀농인 개인의 능력에 수입의 변동성을 맡기는 형태다. 안정적인 생활보다 '3년 안에 사업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모험에 가까운 모양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수입 안정화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농업직불제를 확대·개편하기로 했다. 농업직불제 관련예산도 2027년까지 5조 원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벼농사보다 식량 자급률이 낮은 전략 작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해당 농가로의 청년 유입을 늘리겠다는 취지다. 고령농에게 매입한 농지는 청년농에게 최우선 지급하고, 청년농이 초기 소득 불안정을 겪지 않도록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도 지난해 80만~100만 원에서 올해 90만~110만 원으로 늘렸다.
#현대차 #귀농 #청년농 #영농후계자 #농촌수입
'귀농귀촌 기본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도 전략작물직불 재배면적 13만ha 신청받아요 (0) | 2023.04.26 |
---|---|
귀농 창업자금 신청 시기는 언제인지 알아볼가요 (0) | 2023.04.26 |
불법 농막,농지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 예상(1편) (0) | 2023.04.25 |
농지취득 어려워진 농지법 변경내용 공유(1편) (0) | 2023.04.25 |
눈개승마(삼나물)의 효능과 재배 (0) | 2023.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