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촌에서 살아보기3

완도에서의 귀농 체험 3주차 경험내용(농촌에서 살아보기 3개월 과정)_02 여러분들은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통해 무엇을 얻기를 원하시나요? 저 같은 경우는 처음에는 "완도에 있으니 열대과일의 재배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서울에서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3주 차에 접어들면서 특정 농작물의 재배법이나 기술적인 2차적인 요소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귀농 첫단계_동네 주민과 친해져라 2년 전에 귀농을 결심하면서 많은 시장조사를 하였습니다. 어떤 지역으로, 어떤 작물을? 그리고 땅을 얼마나 구매해서 할 것인가? 등이었습니다. 우선, 귀농 지원금(3억 원) 대출도 고려해야 하니 그러면 교육 이수도 잘해놓자.. 하지만 완도에서의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3주 차 진행하면서 느낀 것은, 어떤 작물을 재배하고, 돈을 어떻게 벌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주변 이웃들과의 유.. 2023. 7. 28.
완도에서의 귀농 체험 3주차 경험내용(농촌에서 살아보기 3개월 과정) 어제(7월 26일) 기준으로 완도에 내려와 귀농체험 3개월 과정의 한 달이 다돼 간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귀농귀촌 체험은 3개월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인이 완도를 선택한 것은 완도 울모래 영농조합에서 비파라는 열대과일을 작목 하여 비파를 이용하여 비파 생물 상태로의 판매, 와인생산판매 등을 하고 계시기에 열대과일을 염두에 둔 본인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신청하였다. 완도의 귀농귀촌 체험 3개월 시작_1주 차~2주 차 7월 1일 오전 집사람이 나를 완도 신지로 숙소에 떨구어 놓고 서울로 올라갔다. 숙소는 1인이. 살기에 적당(?)한 대략 7평 정도이며, 총 4개의 체험주택이 있다. 총 4채이지만 3개는 7평 규모의 원룸규모이며, 1개의 집은 10명 이상이 숙박할 수 있는 큰 규모.. 2023. 7. 27.
귀농귀촌전에 살아보기 체험을 반드시 해보세요 귀농귀촌은 귀농귀촌하시는 분이나 가족에게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시골에서 농사나 지으면서 살 거야"하는 무계획적인 분이 계시다면 아래 내용을 꼭 참고하시고 진행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귀농귀촌 전에 살아보기 체험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귀농귀촌 교육을 220시간 받았습니다. 정부지원 사업을 위한 교육은 거의 다 완료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부족할 수도 있기에 온라인 수업을 조금 더 이수하여 240시간 정도 할 것이며, 틈이 나면 집합교육을 20~40시간 더하여 약 260시간을 채울 생각입니다. 또한 3월 20~3월 24일 집합교육 시에 강사로 나오신 진안군 이장님과 협의를 하였습니다. 이장님 댁이 포도농사를 짓고 계셨습니다. 약 2,000평의 포도농사인데, 약 5종의 포도를.. 2023. 4. 13.
728x90
반응형